달라진 2025년 기초연금 제도 총정리(수급 대상, 선정기준, 신청방법, 필요서류)

updated :

국민연금

2025년 기초연금 제도가 제도가 크게 변경됐습니다.

지급 금액부터 수급 기준, 감액 제도까지 달라진 점을 꼼꼼히 살펴보고 대상자라면 바로 신청하셔야 손해가 없습니다.

온라인, 오프라인 신청 방법과 준비 서류 및 온라인·방문 신청의 차이까지 실제 도움이 되는 정보만 모아 정리해 알려드리니다. 🔗국민연금 개혁 총정리(연금 개혁 내용, 납부금, 연금 수령액)

1. 달라진 2025년 기초연금 제도 주요 내용

구분2024년 기준2025년 기준변화 내용 요약
단독가구 최대 지급액323,180원342,510원월 19,330원 인상
부부가구 최대 지급액516,080원548,000원월 31,920원 인상
단독가구 소득인정액2,130,000원2,280,000원월 150,000원 인상
부부가구 소득인정액3,408,000원3,648,000원월 240,000원 인상
근로소득 공제액1,100,000원1,120,000원월 20,000원 인상
국민연금 연계 감액기준연금액 1.5배 초과시 감액기준연금액 1.5배 초과시 감액기준연금액 인상에 따라 감액 기준 상향
재직자 노령연금 감액일부 감액폐지일하는 어르신 연금 감액 부담 사라짐

2. 2025년 기초연금 제도 수급 대상 및 선정 기준

구분2025년 선정 기준비고
연령만 65세 이상대한민국 국적, 국내 거주자
소득인정액단독가구: 월 2,280,000원 이하부부가구: 월 3,648,000원 이하
소득인정액 산정 방식근로·사업·연금 등 모든 소득 + 재산의 소득환산액(부채 등 공제)
직역연금 수급자원칙적으로 제외(공무원·군인·사학·우체국 연금 수급자 및 배우자)일부 예외 있음
적용 가구부부 중 1인만 신청해도 부부가구 기준 적용
기초연금 수급대상자 자가진단 바로가기 🚀

소득인정액이란?
실제 소득(근로·사업·연금 등)과 재산을 소득으로 환산한 금액의 합계

✔︎ 소득인정액 산정 공식(자세히 보기)

3. 2025년 기초연금 제도 감액 기준, 이렇게 달라졌어요

구분2025년 감액 기준 요약비고
국민연금 연계 감액국민연금 수령액이 기초연금 기준연금액(342,510원)의 1.5배(513,760원) 초과 시, 초과분의 50% 감액최대 약 171,250원 감액 가능
감액 예시국민연금 60만 원: 약 5만 원 감액
70만 원: 약 6.5만 원 감액
80만 원: 약 8.5만 원 감액
90만 원: 약 9만 원 감액
100만 원: 약 9.7만 원 감액
실제 감액액은 가입 기간 등 따라 다름
부부 감액부부 모두 수급 시 각자 산정액의 20% 감액(현행)
2027년: 10% 감액
2030년: 감액 폐지 예정
소득 하위 40% 부부부터 단계적 폐지
재직자 노령연금 감액2025년부터 완전 폐지일하는 어르신 감액 부담 사라짐

참고

  • 국민연금 연계 감액은 국민연금 수령액이 기준을 넘는 경우에만 적용되며, 감액액은 개인별 가입 기간, 납입 시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부부 감액은 부부 모두가 기초연금을 받을 때 적용되며, 단계적으로 폐지될 예정입니다.
  • 재직자(근로·사업소득자) 노령연금 감액은 2025년부터 폐지되어, 일하는 어르신도 연금 감액 없이 수령 가능합니다.

4. 기초연금 신청 방법과 절차

1. 신청 방법

구분신청 장소 / 방법특징
방문 신청읍·면·동 주민센터, 국민연금공단 지사현장 직원의 안내, 서류 직접 제출
온라인 신청복지로24시간 신청 가능, 공동인증서 필요
찾아가는 서비스국민연금공단(1355) 전화 신청거동 불편 시 직원이 직접 방문
복지로 기초연금 온라인 신청 바로가기 🚀

2. 신청 절차

  1. 신청서 작성 및 상담
    방문 또는 온라인으로 신청서 작성
  2. 필수 서류 제출
    신분증, 통장 사본, 소득·재산 관련 서류 등
  3. 소득·재산 조사
    관할 구청에서 소득인정액 등 조사
  4. 대상자 선정 및 통보
    결과 통보 후 매월 25일 계좌로 지급

3. 준비 서류 한눈에 보기

구분준비 서류
필수 서류–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 본인 명의 통장 사본
– 사회보장급여(기초연금) 신청서
– 소득·재산 신고서
– 금융정보 제공 동의서(본인 및 배우자)
추가 서류(해당자)– 배우자 관련 서류(금융정보 제공 동의서 등)
– 임대차계약서, 사용대차확인서(해당 시)
– 사실혼 관계 확인서(필요 시)
– 대리 신청 시: 대리인 신분증, 위임장

Tip.

  • 방문 신청 시, 주민센터나 국민연금공단 직원이 서류 작성과 제출을 도와줍니다.
  • 온라인 신청(복지로)은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가 필요합니다.
  • 거동이 불편하면 국민연금공단(1355)으로 ‘찾아가는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5. 기초연금 대리인 신청, 이렇게 하세요!

1. 대리인 신청 필요 서류

구분필요 서류비고
신청자(본인)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원본 지참
본인 명의 통장 사본
대리인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원본 지참
위임장(신청자 자필 서명 또는 도장)주민센터/공단 양식 사용 가능
배우자(해당 시)금융정보 제공 동의서부부가구일 경우
기타(해당 시)임대차계약서, 사용대차확인서, 사실혼 확인서 등상황에 따라 추가 제출

대리인 신청이 가능한 범위 :
배우자, 자녀, 형제·자매, 친족(8촌 이내 혈족, 4촌 이내 인척), 사회복지시설장 등

Tip.

  • 위임장, 금융정보 제공 동의서 등은 신청 장소에서 양식 제공 및 작성 가능합니다.
  • 모든 서류는 원본을 준비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2. 신청 장소 방문

  • 가까운 읍·면·동 주민센터 또는 국민연금공단 지사에 대리인이 방문합니다

3. 신청서 작성 및 서류 제출

  • 현장에서 기초연금 신청서소득·재산 신고서금융정보 제공 동의서 등을 작성합니다.
  • 준비해 간 신분증, 위임장, 통장 사본 등을 함께 제출합니다

4. 담당 직원과 상담 및 확인

  • 담당 직원이 서류를 확인하고, 추가로 필요한 서류가 있으면 안내해줍니다.
  • 소득·재산 조사 등 절차에 대해 설명을 듣습니다

5. 결과 통보 및 연금 지급

  • 심사 후 수급자로 선정되면 결과를 통보받습니다.
  • 선정된 경우, 매월 25일 본인 계좌로 기초연금이 입금됩니다.
  • 대리인은 배우자, 자녀, 형제자매, 친족(8촌 이내 혈족·4촌 이내 인척), 사회복지시설장 등이 가능합니다.
  • 모든 서류는 원본을 준비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궁금한 점은 방문 전 주민센터 또는 국민연금공단(1355)으로 문의하세요.

5. 온라인 신청과 방문 신청, 무엇이 다를까?

구분온라인 신청방문 신청
신청 장소복지로 홈페이지(24시간 가능)읍·면·동 주민센터, 국민연금공단 지사
필요 서류공동인증서 필요신분증, 통장사본 등 서류 직접 제출
편리함집에서 간편하게 신청 가능직접 방문해야 함
도움온라인 안내만 가능현장 직원의 도움 및 상담 가능
신청 시간24시간(시스템 점검 시간 제외)평일 09:00~18:00(주말·공휴일 제외)

6. 정리

2025년 기초연금 제도는 어르신들의 안정적인 노후를 위해 한층 강화되었습니다.

본인이나 부모님이 수급 대상에 해당하는지 꼭 확인하시고, 놓치지 말고 신청하세요!

문의처

Join Newsletter

새로운 소식을 빠르게 만나보세요.

뉴스레터 구독 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