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억 받는 40세 여성 연금준비 시나리오

Published :

변액연금

40세 여성 연금준비 시나리오입니다. 이번 달 제 고객님께서 준비하신 플랜을 나이만 변경해 각색한 내용입니다.

지극히 현실적인 연금준비 방법으로 직장인이라면 반드시 집중해서 봐야 할 내용이고, 비 혼족이라면 더더욱 집중해서 봐야 합니다.

40대 여성 연금준비 시나리오

연금준비 플랜 개요

100만 원 플랜 ➡️ 2건으로 나눠서 준비합니다.

하나생명-50만원-55세-개시
55세 개시 플랜 월납 50만 원
kdb-50만원-60세-개시
60세 개시 플랜 월납 50만 원

플랜 설명

100만 원으로 연금 준비를 할 때 하나의 상품으로 하지 않고 2개의 상품으로 나눕니다.
👉🏻 상품별로 개시 연령을 다르게 하는 게 핵심‼️

1️⃣ 55세 개시 플랜 : 월납 50만 원(10년 납, 5년 거치, 55세 개시)

2️⃣ 60세 개시 플랜 : 월납 50만 원(10년 납, 10년 거치, 60세 개시)

🔴 추가 옵션 : 55세(연금저축 개시), 65세 : 국민연금 개시

40세 여성 연금준비 진행 시나리오

연금 수령액

총 납입 원금 : 1.2억 원
90세까지 수령 금액 : 총 315,625,313원(137,215,313원 + 178,410,000원)
✅ 100세까지 수령 금액 : 총 412,379,688원(176,419,688원 + 235,960,000원)

참고
이 플랜은 변액연금이긴 하나 최저 보증 상품으로 투자수익에는 큰 의미를 두지 않습니다. 최저 보증 이율로 준비한다고 생각하면 편합니다. 이론적으로는 투자 수익이 나면 더 높은 연금액을 준다고 하지만 펀드 라인업을 보면 큰 수익을 내기는 쉽지 않았습니다.


왜 65세가 아닌 55세부터 연금 개시를?

연금은 언제 개시하는 게 가장 좋을까요?

노후 준비라고 하면 ‘막연히 65세쯤 받아야 하지 않을까’하고 생각합니다.

연금 상품 납입, 거치 후 연금을 받습니다. 연금 받기까지 시간이 꽤 길죠. 그 기간을 잘 버티는 사람이 있지만 대부분은 중간에 해지할 확률이 높습니다. 보험상품은 중간에 해지하면 무조건 손해입니다. 이 상품은 최저 보증하는 변액연금이지만 중간에 해지할 때는 최저 보증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지극히 현실적인 40세 여성 연금준비 시나리오가 필요합니다.

참고 글 🔗 직장인 노후 준비 – 현실 대안인 3단 연금


40세 여성 연금준비 FAQ

연금을 준비하는 최소 보험료는 얼마정도인가요?

40세 이상부터는 최소 50만 원 이상 준비하셔야 합니다.
연금은 내가 납부한 만큼 나중에 받는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7%, 8%를 최저 보증하는데 무슨 말이냐? 하고 반문하는 분이 있으시겠죠. 연금은 미래에 받는 돈입니다. 그만큼 시간의 가치를 생각하면 돈 가치는 떨어지죠. 7%, 8% 최저 보증은 돈 가치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30세는 시간의 복리를 사용할 수 있지만, 40세는 10년만큼 복리 기간에서 차감해야 합니다. 그만큼 납입 보험료를 높여야 연금으로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55세에는 경제활동을 하는데 왜 연금 받나요?

55세 연금을 받는 것은 단계별 연금을 준비하기 위한 1단계입니다.

55세 연금 개시는 55세부터 연금을 사용하라는 뜻이 아닙니다. 연금 상품을 완성하는데 더 큰 의미가 있습니다.

개인마다 상황은 다르겠지만, 생계를 위한 경제활동이 어려워질 때부터 연금은 필요합니다. 그게 50대일 수도 있고, 60대 이후일 수도 있겠죠.

연금으로 생활하시는 시기는 55세 이후일지라도 하나의 연금 상품으로 노후를 준비하다 중간에 해지하는 상황이 생기면 그때는 연금을 준비하기 상당히 어렵습니다.

보험료별 연금준비 시나로오

‘노후 준비를 할까’ 고민하는 30대와는 달리 40대에게 노후는 눈앞에 다가온 현실입니다. 안타깝지만 30대에 시작하지 못한 기간을 돈으로 채우셔야 합니다.

최소 50만 원 : 10년 납 5년 거치 상품 준비

50 ~100만 원 : 50만 원(10년 납, 5년 거치) + 50만 원(10년 납 10년 거치)

100만 원 이상 : 100만 원(10년 납, 5년 거치) + 나머지 금액(10년 납 10년 거치)

이정도로 구성하면 좋습니다만 어디까지나 예시입니다. 개인마다 사정이 다르기에 적정한 금액은 전문가와 상담을 통해 결정하세요.


결론

30대에 연금준비를 고민하는 것과 40대에 연금을 준비하는 것은 차원이 다른 문제입니다. 30대는 노후 대비이지만, 40대는 현실적인 노후준비를 해야합니다.

연금액을 많이 받는 것도 중요하지만, ‘끝까지 연금을 완성할 수 있을까’가 더 중요한 문제입니다. 40대 때는 중간에 해지해야 할 이유가 30대보다 수만가지는 더 많습니다.

노후를 위한 40세 여성 연금준비라면 달성할 수 있는 목표로 나눠서 준비해야 합니다.

문의하기

my-profile
당신의 재무 파트너 신 팀장입니다.
상담 문의 분야 : 연금 플랜, 연금저축, 변액보험 관리, 보험 상담, 해외 ETF
상담 및 설계 요청 시 아래 양식을 먼저 작성 후 카톡 상담을 신청하셔야 자세한 상담이 가능합니다.
contact-fo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