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같은 ‘노인 장기요양보험 준비’ 시나리오

Published :

장기요양보험

2023년 기준 한국의 치매 환자 수는 약 63만 9천 명으로, 최근 5년간 가장 많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약 10.33%가 치매를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문제는 치매 환자 수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와 더불어 노인 장기요양보험 이용자 수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노후 준비엔 반드시 연금같은 노인 장기요양보험 준비 시나리오’가 필요합니다.

노인 장기요양보험 준비

1. 노인 장기요양보험 인증 절차

<핵심 Check‼️>

신청 대상자65세 이상 뿐만 아니라 65세 미만도 신청 가능하다.

노인 장기요양보험 대상자 평가는 의사가 하지 않는다. 국민건강보험 소속 직원 및 간호사•사회복지사•물리치료사 자격을 갖춘 전문가가 평가한다.

노인 장기요양보험 인증 절차(장기요양 인정 조사표 포함)

2. 노인 장기요양보험 등급별 이용 현황

<Check‼️>

치매환자는 인지지원 등급•5등급에 해당함.

일반 노인 장기요양 등급은 4등급부터 시작한다.

노인 장기요양보험 등급별 이용 현황

3. 노인 장기요양보험 종류

<Check‼️>

재가급여, 시설급여는 중복이용 불가합니다.

급여 종류제공 장소주요 특징세부 서비스
재가급여수급자의 가정 또는 주간 보호시설일상생활에서 필요한 다양한 서비스 제공방문요양, 방문목욕, 방문간호, 주·야간보호, 단기보호, 인지활동형 방문요양
시설급여장기요양기관24시간 전문적인 요양 서비스 제공노인요양시설,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특별 현금급여특별한 사유로 현금 지급가족 요양비

세부 내용 설명

장기요양보험 본인부담금

1. 재가급여 본인부담금

<Check‼️>

비급여는 본인 부담 : 식비, 간식비

2025년 주•야간보호 본인부담금(등급별)

2. 시설급여

<Check‼️>

비급여 : 식비, 상급 침실료는 100% 본인 부담

2025년 기준 장기요양보험 시설급여 본인부담금을 등급별, 소득수 준별 세부 내용(요양원과 요양병원의 차이)

노인 장기요양보험 준비 추천 플랜

  • 1. 노인 장기요양 등급 판정 후 부부가 서로 돌볼 만큼 관계가 좋다면 ➡️ 재가급여
  • 2. 치매가 심해지면 시설에 가야겠다고 생각하고 있다면 ➡️ 재가급여 + 시설급여(1~3급)
  • 3. 보호자가 없고, 경제적 문제가 걱정된다면 ➡️ 시설급여 Plus(월 200만 원 수령 플랜)

(플랜은 곧 올리겠습니다.)

결론

‘노후 준비’란 단어는 많은 것을 포함합니다. 특히 노인 장기요양보험 준비는 정말 중요합니다.

핵 개인화된 시대 본인과 배우자, 또 자녀를 위해서 스스로 노후를 준비해야 합니다. 그중에 절대 빠뜨릴 수 없는 게 노후 장기요양 플랜입니다.

자신을 위하고 사랑하는 배우자, 자녀를 위해 지금 준비하세요.

문의하기

my-profile
당신의 재무 파트너 신 팀장입니다.
상담 문의 분야 : 연금 플랜, 연금저축, 변액보험 관리, 보험 상담, 해외 ETF
상담 및 설계 요청 시 아래 양식을 먼저 작성 후 카톡 상담을 신청하셔야 자세한 상담이 가능합니다.
contact-form